#07.‘<찬미받으소서> 주간’을 향한 일곱 번째 걸음~!
그렇다면 어떻게~?

😢😢😢
“실행 가능한 국제 협약이 시급히 필요합니다.
지역 국가 당국들이
효과적으로 개입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입니다
…
예를 들어 일부 기업이나 강대국이
다른 나라에 고도로 오염된 폐기물을 내다 버리거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산업을 이전하는 것과 같은
용서할 수 없는 행위를 막고
의무를 부과하려는 국제적 규제의 틀이 필요합니다.” (173항)
“간단히 말해서 발전의 개념을 새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 나은 세상과 전체적으로
더 높은 삶의 질을 이루어 내지 못하는 기술과 경제 발전은
진보로 볼 수 없습니다.
경제가 성장해도 종종 인간 삶의 질이
실제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194항)

나라의 부를 경제 성장이 아닌
국민의 행복지수로 정하는 나라가 있습니다.
세계경제순위 110위인 부탄은
국민의 91%가 스스로 행복하다고 말합니다.
그런 부탄에는 없는 것이 많다고 합니다.
신호등이 없고,
동물학대가 없고,
화학비료가 없고,
국민모두가 의료와 교육의 혜택을 무상으로 받습니다.
이 시대에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곳이 있다니 놀랍기만 합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부족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부유한 나라
가난한 그들이
진정한 기쁨을 누리며 사는 것 같습니다.
* 함께 읽어요~! ▶ 회칙 163~201항
댓글을 남겨주세요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