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
특히 가난한 이들에게 개방적이어야 한다.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세월이 흐르고 흘러, 이 땅에서 온갖 풍파를 겪으셨던 독일 수녀님들은 이제 모두 하늘 본향으로 가셨습니다.
그러나 그분들이 이 땅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가져오신 약초 씨앗들은 이 땅에서 뿌리를 내리며
우리와 함께 길이길이 수녀님들의 선교 정신을 이어갈 것입니다.
물질의 풍요 속에 살아가고 있는 이 세대의 우리들이 감히 실감하지 못하는 어려운 시대가 이 땅에도 있었습니다. 나라를 빼앗긴 일제 강점기 시대와 6.25사변으로 인한 극도의 혼돈과 궁핍의 시대를 들 수 있겠지요.
그렇게 우리가 가난한 나라였을 때에 하느님을 전하고자, 또 가난한 사람들 안에 계시는 주님을 평생토록 섬기고자 이 땅에 찾아온 선교사들이 계셨습니다. 우리 수녀회도 바로 그 격동의 두 시대를 지나서 오늘에 이르게 된 수도회 중의 하나입니다.
일제 강점기 한 중간인 1925년, 독일 툿찡 모원에서 4명의 수녀님들이 선교사로서 원산(함경도에 위치)에 파견되어 오셔서 시작된 우리 수녀회는 그 시대에 가장 필요로 하는 의료활동과 교육활동에 주력했지요.
특별히 의료봉사를 하시던 독일 수녀님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독일의 약초를 가져오셔서 생약을 만들어 보급하셨는데, 지금도 수녀원에서는 20가지가 넘는 약초를 재배하여 코푸시럽으로 감기를 물리치는 등 여러 가지를 만들어 보급하려 준비하고 있습니다.
약초이야기에서 처음으로 다루었어야 될 캐모마일 이야기가 조금 늦었습니다^^
캐모마일: 유럽의 만병통치 약초
학명: Matricaria chamomilla
독명: Kamille(카밀레)
영명: Chamomile
우리 수도회가 독일 수녀님들에 의해서 세워진 만큼 유럽에서 가정상비약으로 통하는 캐모마일은 수녀원에서 없어서는 안 될 가장 귀한 약초로 통합니다. 감기 기운이나 두통, 소화가 안 될 때 캐모마일차를 먼저 마실 정도로 애용되는 약초입니다.
어원
먼저 캐모마일이란 이름의 어원을 알아볼까요?
캐모마일은 향기가 사과 향기와 흡사하여 고대 그리스인은 chami(작은) melon(사과) 즉, 땅에서 나는 사과라는 뜻의 이름을 붙였는데 바로 캐모마일(chamomile)이란 이름의 어원입니다. 스페인에서도 이 식물을 작은 사과란 뜻의 manzilla라 하는데 이것으로 맛을 낸 셀리주를 manzanilla라 하여 칼멘이 노래한 유명한 아리아의 한 구절에도 나오지요.
원산지가 유럽인 캐모마일은 저먼캐모마일, 로만캐모마일, 다이어스캐모마일, 더블플라워 캐모마일, 론 캐모마일 등의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일,이년초인 저먼 캐모마일과 다년초인 로만 캐모마일이 대표적입니다. 우리 수녀원에서는 모원이 독일이다 보니 당연히 저먼 캐모마일을 키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독일이름인 ‘카밀레’로 통용되고 있지요. 저먼 캐모마일의 학명은 Matricaria chamomilla인데, 여기서 Matricaria는 mater 즉, 어머니 자궁을 뜻하는데 그만큼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는 뜻으로서 캐모마일을 넣은 약탕(목욕물)은 부인 히스테리를 진정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재배
캐모마일의 파종은 이른 봄이나 여름이 끝날 무렵에 노지나 화분에 직접하며 노지나 정원에서 꽃이 피고 떨어진 씨앗에서는 해마다 새싹이 나옵니다.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이면 어디서건 재배가 매우 쉬우며 파종한 종자는 10일 내외로 발아하는데 2-3센티미터 정도 되면 노지나 화분으로 정식합니다.
선교사로서 파견되어 오신 독일 수녀님들을 통해 들여온 캐모마일 씨앗도 그 이후, 저절로 떨어진 씨앗에서 자라고 피고 지고를 반복하며 스스로 지금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지요.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인 20세기 초, 이 땅의 가난하고 아픈 사람들을 위한 약초로서 들어와 약초 선교사의 피를 그렇게 물려받고 있는 수녀원의 캐모마일은, 그래서 남다른 정을 느끼게 합니다.
가을이 무르익을 즈음 수녀원 약초밭에서는 한두해살이풀에 속하는 저먼 캐모마일 새싹들이, 저절로 땅에 떨어진 씨앗에서 발아하여 이랑과 고랑 가리지 않고 여기저기 올라오지요.
그러면 골을 넓게 잡아 잘 발효된 부엽토와 유기농 퇴비를 섞어서 캐모마일을 정식할 이랑을 준비합니다. 그리고 10월 초, 중순경에 잘 생긴 새싹들을 70cm간격으로 심어주지요. 그것으로 봄이 올 때까지 사람의 손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얼음이 얼지 않을 때까지 물을 주거나 가끔씩 두더지가 지나간 자리를 밟아주는 정도..^^
겨울을 나는 중인 캐모마일 싹
그러면 추운 겨울을 땅에 딱 붙어서는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스스로 내공을 키웁니다. 그러다 얼음이 얼지 않을 정도의 봄이 오면 그 때부터 물을 주거나 퇴비를 주는 등 관리에 들어가지요. 4월부터는 하루가 다르게 눈에 띄게 성큼성큼 자라는데 말 즈음에는 어느새 꽃대마다 꽃봉오리를 가득 달고 있지요.
점점 자라는 캐모마일
우리나라에서 캐모마일꽃은 4월 말부터 6월 말까지 피는데, 개화하여 2-3일 째, 즉 가운데 노란색 부분이 반원보다 더 볼록하게 올라 와 있을 때가 수확 적기입니다.
충만하게 영글은 캐모마일 꽃
그렇게 수확한 캐모마일꽃은 양지나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말려서 햇빛이 차단되는 건조한 용기에 넣어 보관합니다.
자연건조 중인 캐모마일
캐모마일은 프랑스, 벨지움, 영국 등에서 널리 재배되는데 영국의 밋참은 유명한 재배지로서 캐모마일의 꽃이 피는 7~8월은 학교도 휴교하여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들로 나가서 이 꽃을 딴다고 하는데 수녀원에서도 그와 같은 진풍경이 5월부터 6월까지 이어지지요. 꽃송이가 워낙 작게, 구름이 내려앉은 듯 많이 열리기 때문에 인해전술로서만이 제 때에 수확을 가능하게 한답니다.^^
쓰임새와 효능
캐모마일은 옛날에는 "식물의사"라는 별명으로도 불리었는데, 즉 병충해에 걸린 식물 가까이에 캐모마일을 심어두면 원기를 회복하여 소생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 식물은 방충의 효과도 있습니다.
드라이 플라워나 포푸리를 만들 때에는 가능한 오전 중에 꽃을 따서 통풍이 잘 되는 응달에 넓게 펴서 말립니다. 건조한 꽃은 미용 효과가 뛰어나 목욕제로 이용합니다. 마사지 오일에 소량을 넣으면 운동후 피로 회복에 좋아요.
유럽에서는 탕약이라고 하면 캐모마일을 연상할 정도인데 향은 마음이 초조하고 화가 나거나 심한 정신적 긴장을 완화시켜 줍니다. 작고 흰 꽃 5, 6개를 뜨거운 물에 넣으면 달콤한 사과향의 신선한 차를 즐길 수 있어요.
이처럼 캐모마일은 차로서 뿐만 아니라 입욕제, 방충방향제, 화장품, 스팀팩(습포제) 등 그 활용범위도 광범위하지요. 활용범위가 넓다는 것은 그만큼 효능이 많다는 말이겠지요? 그 효능과 부작용을 간략하게 한 번 눈여겨보시겠습니다.
캐모마일의 효능
:진정작용, 강장작용, 발한작용, 항염증작용, 감기, 기관 천식, 과민성 위장염, 두통, 치통, 월경곤란, 불면증, 인후염, 냉증, 신경통, 류마티스, 경련, 풍습으로 인한 전신통, 결막염, 구강염, 화농증(외용)
☞심신안정, 불면증 해소: 마음이 안정되지 않아 불안하고 초조할 때 또는 화가 나거나 놀랐을 때와 불면증에 시달릴 때 캐모마일 차를 마시면 안정이 되고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진통효과: 캐모마일을 섭취하면 글리신 성분의 분비가 자극되는데 이 성분은 두통, 치통, 생리통 등과 같은 통증을 완화해주는 진통효능이 있습니다. 단, 아스피린과 함께 섭취하는 것은 매우 좋지 않다고 해요.
☞소염효과: 염증완화 효능이 강력하여 치질 등의 염증 부위와 화상에 의한 상처 회복을 촉진시켜줍니다. 그 외 구강염, 인후염 등의 다양한 염증에 효능이 있습니다.
☞피부진정효과: 아토피나 여드름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완화해주며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개선해줍니다. 단, 캐모마일은 국화과이기 때문에 국화꽃에 알러지가 있으신 분들은 이용을 삼가주세요.
☞면역력 강화: 감기에 걸리기 쉬운 환절기에 차로 음용하면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면역력을 향상시켜주어 감기 예방은 물론 초기 감기가 악화되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소화 장애 완화: 캐모마일은 특히 변비, 설사, 신경성 위염 등 다양한 소화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해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캐모마일에는 아피제닌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있어 항산화작용을 하여 피부에 종양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어 자외선 차단제로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여성호르몬의 조절에도 관여하여 생리통을 완화해주고 생리불순인 여성들에게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단, 임신 중이신 분들은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캐모마일은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다른 허브보다 높은데 이 때문에 항응혈 작용으로 혈액응고에 문제가 있는 분이나 병원에서 항응고제 관련 약을 복응하시는 분들은 의사와 상담 후 섭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여러 인터넷 관련 사이트에서 모은 자료와 직접 재배해 본 농사 경험을 바탕으로 캐모마일에 관한 정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허브를 사랑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는 [신성한 나무, 홀룬다]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숨쉬는 것 모두 주님을 찬미하여라.(시편 150,6)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 방입니다
베네숲
|
2018.12.22
|
추천 3
|
조회 2336
|
베네숲 | 2018.12.22 | 3 | 2336 |
13 |
풀따기 수녀의 이야기[8-3] - 세이지(살바이): 수확
베네숲
|
2018.11.19
|
추천 1
|
조회 3313
|
베네숲 | 2018.11.19 | 1 | 3313 |
12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2] - 세이지(살바이): 특성과 재배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2887
|
베네숲 | 2018.11.19 | 2 | 2887 |
11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1] - 세이지(살바이): 유럽의 만병통치약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2905
|
베네숲 | 2018.11.19 | 2 | 2905 |
10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3 쓰임새와 효능
베네숲
|
2018.03.16
|
추천 0
|
조회 2187
|
베네숲 | 2018.03.16 | 0 | 2187 |
9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2 재배
베네숲
|
2018.03.12
|
추천 0
|
조회 1937
|
베네숲 | 2018.03.12 | 0 | 1937 |
8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1. 어원과 종류, 재배
베네숲
|
2017.05.16
|
추천 0
|
조회 3065
|
베네숲 | 2017.05.16 | 0 | 3065 |
7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2
베네숲
|
2016.06.10
|
추천 0
|
조회 2051
|
베네숲 | 2016.06.10 | 0 | 2051 |
6 |
풀따귀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 1
베네숲
|
2016.06.10
|
추천 1
|
조회 2555
|
베네숲 | 2016.06.10 | 1 | 2555 |
5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5]_캐모마일
베네숲
|
2015.08.29
|
추천 0
|
조회 3749
|
베네숲 | 2015.08.29 | 0 | 3749 |
4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4] - 홀룬더
베네숲
|
2015.08.06
|
추천 0
|
조회 2399
|
베네숲 | 2015.08.06 | 0 | 2399 |
(41492)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로 363-36 / 053)313-3431~4 / osbdghp@naver.com
Copyright(c)2005 benedictine.or.kr. All rights Reserved.